알고리즘/알고리즘 문제 풀이
(C++) 백준 1368번 - 물대기
용꿀
2023. 6. 19. 12:50
문제 링크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368
1368번: 물대기
첫 줄에는 논의 수 N(1 ≤ N ≤ 3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i번째 논에 우물을 팔 때 드는 비용 Wi(1 ≤ Wi ≤ 100,000)가 순서대로 들어온다. 다음 N개의 줄에 대해서는 각 줄에 N개의 수가 들어
www.acmicpc.net
풀이
새로운 우물을 파는 것은 새로운 정점을 하나 추가하여 그에 맞는 cost를 가지는 간선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.
Union-Find를 사용해서 크루스칼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최소 신장 트리의 크기를 구해보았다.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tuple>
using namespace std;
tuple<int, int, int> t[100005];
int n, e, cost, result, cnt;
int parent[305];
int find(int x){
if(parent[x] == x) return x;
else return parent[x] = find(parent[x]);
}
void uni(int x, int y){
x = find(x);
y = find(y);
parent[y] = x;
}
bool is_diff_group(int x, int y){
x = find(x);
y = find(y);
if(x == y) return false;
else return true;
}
int main() {
ios::sync_with_stdio(0);
cin.tie(0);
cout.tie(0);
cin >> n;
for(int i = 1; i <= n; i++){
cin >> cost;
t[e++] = {cost, i, n+1};
}
for(int i = 1; i <= n; i++){
for(int j = 1; j <= n; j++){
cin >> cost;
if(i >= j) continue;
t[e++] = {cost, i, j};
}
}
n++;
sort(t, t+e);
for(int i = 1; i <= n; i++) parent[i] = i;
for(int i = 0; i < e; i++){
if(!is_diff_group(get<1>(t[i]), get<2>(t[i]))) continue;
uni(get<1>(t[i]), get<2>(t[i]));
result += get<0>(t[i]);
cnt++;
if(cnt == n-1) break;
}
cout << result;
}